본문 바로가기
영상편집

ASMR 영상 찍는 환경 세팅 방법

by 아해마 2025. 4. 8.

ASMR 영상 찍는 환경 세팅 방법 텍스트 썸네일

 

1. 조용한 촬영 공간 만들기 – 소음 차단이 핵심

ASMR 영상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보다도 촬영 환경의 조용함입니다. 마이크가 잡아내는 섬세한 사운드는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생활 소음조차 영상의 몰입도를 해치는 원인이 됩니다. 우선, 촬영 전 외부 소음을 최대한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창문은 반드시 닫고, 방음 커튼이나 두꺼운 블라인드를 활용하면 소리 흡수에 도움이 됩니다. 냉장고, 선풍기, 공기청정기 같은 가전제품도 가급적 꺼두고 촬영을 준비해야 하며, 창틀이나 문틈 사이로 들어오는 바람 소리도 문풍지 등을 활용해 막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바닥에는 러그를 깔아 바닥 진동을 줄이고, 벽면에는 흡음패널이나 천을 걸어 잔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완벽한 방음실이 아니더라도, 일상적인 공간 안에서 ‘소리의 간섭’을 줄이기 위한 노력만으로도 퀄리티가 크게 달라집니다.

 

2. 마이크 세팅의 정석 – 사운드 퀄리티를 결정짓는 기술

마이크의 선택과 배치 역시 ASMR 영상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핀 마이크나 스마트폰 내장 마이크보다는 콘덴서 마이크나 바이노럴 마이크와 같은 고감도 마이크가 더 적합하며, 특히 이어폰으로 듣는 시청자를 고려한 좌우 채널 구분은 필수입니다. 마이크는 피사체 가까이에 위치해야 하되, 숨소리나 입김으로 인한 파열음을 방지하기 위해 팝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마이크를 고정하는 암 스탠드나 진동 흡수 기능이 있는 마운트를 활용하면 불필요한 움직임이나 진동이 녹음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촬영 시에는 책상 위에 방진 패드를 깔아 외부 진동 전달을 줄이는 것이 좋으며, 사운드가 중심인 ASMR 특성상 마이크의 위치, 각도, 거리 등 세밀한 조정이 필수입니다. 세팅이 완료되면 테스트 녹음을 통해 잡음 여부를 점검하고, 필요시 볼륨과 민감도를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시각적 몰입감을 높이는 조명과 배경 연출

기본적인 환경 세팅이 끝났다면, 그다음은 조도와 배경 같은 시각적 요소를 고려해 영상의 완성도를 높여야 합니다. ASMR 영상에서는 주로 손의 움직임, 도구 사용, 책장 넘김 등의 시각적 자극도 함께 전달되기 때문에, 카메라의 구도와 조명 설정이 중요합니다. 너무 밝거나 날카로운 빛은 몰입감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간접조명이나 따뜻한 톤의 조명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배경은 심플하고 깔끔하게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시청자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오브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시선을 분산시키는 화려한 소품보다는, 영상 전체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드는 요소들을 선택해 감성적인 톤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선 배경지나 크로마키를 사용해 일정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습니다.

 

4. 편집으로 완성도 높이기 – 소리의 마무리는 후반 작업

촬영이 완료된 후에는 반드시 후반 작업을 통해 오디오를 정리하고 영상의 완성도를 높여야 합니다. Adobe Audition, Audacity, DaVinci Resolve 같은 편집 툴을 활용하면 노이즈 제거, EQ 보정, 사운드 정규화, 좌우 밸런싱 조절 등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나친 노이즈 제거는 오히려 소리의 입체감을 해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청자는 정제된 기술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소리 경험’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편집 과정에서도 자연스러움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지막으로, 자막이나 간단한 시각 효과를 더해 시청자의 이해를 돕거나 영상의 포인트를 살리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처럼 ASMR 영상은 단순한 촬영이 아니라 공간, 장비, 소리, 감성 모두가 정교하게 맞물려야 완성되는 예술이며, 작은 환경 변화가 시청자에게는 큰 감각적 경험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5.  ASMR 영상 촬영 고수들의 실전 꿀팁 5가지

  • 촬영 전 냉장고/공기청정기/PC 팬 소리 끄기
    작은 소음도 마이크에 크게 잡히므로, 주변 전자기기의 소리를 모두 차단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완전히 조용한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 마이크 테스트는 반드시 촬영 전 해보기
    마이크 위치에 따라 음질이 크게 달라집니다. 테스트 녹음을 1~2분 해보고, 최적의 각도와 거리에서 녹음하세요. 특히 입소리, 손소리처럼 가까운 사운드는 ‘포근한 거리감’이 핵심입니다.
  • 촬영 전 손톱·입술·의상 점검하기
    ASMR은 사소한 소리도 크게 들립니다. 손톱이 너무 길면 마찰음이 날 수 있고, 입술이 건조하면 입소리 효과가 좋지 않습니다. 옷은 바스락거리지 않는 소재가 좋아요.
  • ASMR용 ‘사운드 리스트’를 미리 정리해두기
    영상에서 어떤 소리를 담을지 미리 정리해두면 촬영이 훨씬 수월합니다. 예: 탭핑, 브러싱, 페이지 넘기기, 속삭임, 포장지 사운드 등. 구성표처럼 정리해두면 다음 영상 기획도 쉬워져요.
  • 배경음보다 ‘무배경’이 더 좋을 수도 있다
    간혹 로파이나 백색소음을 배경에 깔기도 하지만, 정통 ASMR에서는 ‘완전한 정적’이 더 몰입을 줍니다. 사용 시엔 음량을 5~10% 정도로만 최소한으로 적용해보세요.